-
TEL : 02-450-3324
-
LOCATION : 인문학관 연구동 110호
-
HOMEPAGE : http://korea.konkuk.ac.kr
교육목표
본 전공은 국어교사들에게 국어국문학 연구에 새롭게 접할 기회를 줌으로써, 한 차원 높은 내용의 학문을 연구하게 하여 현직 국어교사를 재교육하고, 우수한 신규 중등 국어교사를 기르는 데에 그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주된 세 가지 내용의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이를 운영한다. 첫째, 국어학 분야에서는 고대국어, 중세국어, 현대국어에 관한 연구를 골고루 접하고 이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고찰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편성한다. 둘째, 국문학 분야에서는 고전과 현대의 접맥을 통한 국문학의 원형을 탐구하고 다양한 문학 장르를 접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편성한다. 셋째, 국어교육 분야에서는 교육현장에서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연구 과제들을 선정하여, 국어 교사로서 한국의 언어와 문학을 이해하고 교육하는 데 모자람이 없는 교과 과정을 편성한다.
교수소개
직급 | 교수명 | 세부전공 | 연구실 | 연락처 | |
---|---|---|---|---|---|
주임교수 | 황혜진 | 인문학관 교수연구동 409호 | 02-450-3340 | jiny@konkuk.ac.kr |
교육과정 전공로드맵 열람
교과교육영역(전공)교육과정
교과목 명 | 영문표기 | 학점(시간) | 비고 |
---|---|---|---|
국어교육론 | Theor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2(2) | (1)분야 |
국어교재연구 및 지도법 | Studies of Korean Textbook and Teaching Methods | 2(2) | |
국어논술교수법 | Educational Theory of Korean Essay | 2(2) |
기본이수과목(전공)교육과정
교과목 명 | 영문표기 | 학점(시간) | 비고 |
---|---|---|---|
국어학개론 | Theories of Korean Language | 2(2) | (2)분야 |
국어문법론 | Studies in Korean Grammar | 2(2) | (2)분야 |
국어사 | History of Korean Language | 2(2) | (2)분야 |
국문학개론 | Theories of Korean Literature | 2(2) | (3)분야 |
국문학사 | Studies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2(2) | (3)분야 |
시가교육론 | Education of Modern Korean Poetry | 2(2) | (4)분야 |
희곡교육론 | Education of Modern Korean Drama | 2(2) | (4)분야 |
수필교육론 | Education of Korean Essay | 2(2) | (4)분야 |
표현교육론 | Expression The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2(2) | (5)분야 |
(1)-(5)분야 중 각 분야에서 1과목 이상 이수
전공교육과정(교과내용영역)
교과목 명 | 영문표기 | 학점(시간) | 비고 |
---|---|---|---|
고전문학교육과 치료 | Education of the Classics and Literary Therapy | 2(2) | |
비평론 | Studies in Modern Korean Literary Criticism | 2(2) | |
소설론 | Studies of Modern Korean Novel | 2(2) | |
현대소설교육론 | Education of Modern Korean Novel | 2(2) | |
언어이론교육 | Education of Linguistic Theory | 2(2) | |
국어음운론연구 | Studies in Korean Phonology | 2(2) | |
국어의미론연구 | Studies in Korean Semantics | 2(2) | |
매체와 문학교육 | Media and Literature Education | 2(2) | |
현대시 교과분석론 | Seminar in Analysis of Modern Poetry Curriculum | 2(2) | |
고전문학교육과 연행 | Performance Perspective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 2(2) | |
고전서사교육론 | Education of Classical Korean Narrative | 2(2) |
교과목 해설
국어교육론 | 초중등학교 국어교육의 성격, 목적, 목표, 내용, 지도 방법, 평가 방법 등에 관한 이론을 국어교육의 틀 속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국어교육 이론을 탐구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 내용의 기본 요소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국어지식 등 교육 이론을 전반적으로 살핀다. |
국어교재연구 및 지도법 | 국어교육, 문학교육에 필요한 교재 및 지도법을 연구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재들의 허실을 점검하고, 그와 연관하여 효율적인 교육방법을 탐색한다. 나아가 전형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교재의 개발 및 지도법 창출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
국어논술교수법 | 다양한 국어 논술 교육 이론을 살핌으로써 논리적인 표현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모색한다. |
국문학개론 | 국문학 교육의 기초로서 창작론, 구조론, 수용론 등의 문학일반을 연구하고 이를 작품의 해석에 적용한다. 서양에서 개발된 문학이론들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문학이론을 포용하며, 인접 학문들과의 연계성에 유의함으로써 국문학을 보는 시야를 넓힌다. |
국어학개론 | 국어학 연구에 필요한 개념·이론을 익히고, 말소리, 말뜻, 형태소, 낱말, 형태론, 통어론, 국어사, 방언론, 북한언어 이해 등 국어학의 기초적인 부분을 강의하며, 국어학 연구의 기본을 익히도록 한다. |
국문학사 | 한국 현대문학의 흐름과 특성을 분석, 개괄하여 한국문학의 총체적 이해와 앞으로의 전개방향을 모색한다. 특히 통일시대를 대비하여 남북한 문학사의 흐름을 민족문학적 관점에서 조망하여 미래지향적인 패러다임을 구축한다. |
국어사 | 한국어의 변천과정을 음운, 형태, 통사적인 측면에서 고찰한다. 특히 한국어의 계통론과 고대국어 연구에 주의를 기울인다. |
국어문법론 | 여러 문법 이론을 검토하여 국어 문법 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문제들을 분석한다. |
시가교육론 | 한국 현대시의 흐름을 개관하고 그 특징과 성격을 분석한다. 아울러 현대시의 주요 시인들의 생애와 시 세계를 고찰하여 현대시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한다. 그동안 다소 소홀히 다루어진 해금시인 및 해방 후 현대시인들의 시 세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
희곡교육론 | 희곡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텍스트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활동 방법을 체계적으로 구축한다. |
수필교육론 | 이 과목에서는 전통사회의 교술 문학 및 현대 한국 수필 문학에 대한 소양(literacy)을 바탕으로 수필 문학을 교육하는 제반 문학교육이론을 학습한다. 나아가 수필 문학과 관련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선정・개발하며,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자질을 함양한다. |
표현교육론 | 이해와 표현은 인간 언어활동의 두 양상이다. 그 중 표현에 초점을 둔 이 과목의 목표는 말하기와 글쓰기, 매체 텍스트 생산 등 제반 표현 활동의 이론과 실제에 능통한 교사의 자질을 함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과목에서는 화법교육학, 작문교육학, 매체교육학 등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더불어 현재의 언어문학적 상황에서 표현교육의 자료를 발견하고 교육적 대상으로 구성하는 연습을 행한다. |
고전문학 교육과 치료 | 고전문학이 지니는 심리치료적 효과를 연구하고 그 교육적 적용 방안을 탐색한다. 고전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마음을 다스리고 고양하는 다양한 길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음악치료나 영상치료 등과의 연계를 통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도 폭넓게 추구한다. |
비평론 | 문학비평에 관한 제 이론을 섭렵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분석방법을 모색한다. 아울러 한국현대문학 비평사를 개괄하여 비평적 논의의 윤곽을 파악한다. 현대문학사에 주요한 비평적 과제를 재점검한다. |
소설론 | 한국 현대소설의 흐름을 개관하고 그 특징과 성격을 분석한다. 아울러 현대소설의 주요 작가의 생애와 소설세계를 고찰하여 현대소설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한다. 그 동안 소홀히 다루어진 해금작가 및 해방 후 현대작가들의 소설세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
현대소설교육론 | 소설교육에 관련된 제 이론을 정리하고 그 특징과 성격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교육의 교재에 게재된 소설작품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과지도와 작품 감상력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특히 학생중심의 소설교육의 방법론을 집중적으로 개발한다. |
언어이론교육 | 일반 언어이론을 폭넓게 들여다보고, 이러한 이론들이 실제 언어교육에서 자연스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
국어음운론연구 | 음성과 음운, 음운체계, 음운의 변동, 음절체계 등 현대 국어의 공시적인 음운현상과 말소리의 생성, 소멸 등과 같은 역사적인 음운현상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살핀다. |
국어의미론연구 | 어휘의미론, 문장의미론, 화용론의 분야에 걸쳐 여러 의미 이론을 검토하여 국어를 대상으로 분석한다. |
현대시 교과분석론 | 현행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재에 수록된 현대시 작품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지도법과 문학 성취도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
고전서사교육론 | 이 과목에서는 국한문 고전소설을 비롯하여 판소리, 구비 설화 등 한국 고전서사에 대한 소양(literacy)을 바탕으로 서사문학을 교육하는 제반 문학교육이론을 학습한다. 나아가 서사문학과 관련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선정・개발하며,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자질을 함양한다. |
매체와 문학교육 | 다매체 사회에서 매체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언어교육의 변화가 요청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문학은 말과 글이라는 언어 매체로 존재하여 왔으나 현 시점에서 문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구현된다. 이 과목에서는 문학이 처한 매체 문학적 환경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문학의 매체 변용 문제, 문학교육의 교육내용이나 방법론을 매체교육에 확장・적용하는 문제, 문학교육에 매체를 활용하는 문제, 문학을 매체론적 시각으로 보는 문제 등에 대해 이론적으로 숙려하여 미래 국어교사들의 매체 문식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
고전문학교육과 연행 | 이 과목에서는 한국 고전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그 특성 및 교육방법을 연구한다. 연행(performance)은 학습자들이 고전문학의 문학적·예술적 감동을 함께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다. 이러한 교육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이 과목에서는 고전문학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도모하고, 현시적인 매체인 몸을 비롯하여 다양한 시각영상 매체의 활용능력을 높이는 교육이 행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