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 학과명
- 문화콘텐츠·커뮤니케이션 학과(석사/박사)
-
- 소 속
- 문과대학 대학원
-
- 세부전공
-
- 문화콘텐츠학: 문화콘텐츠학 전공 주관
- 커뮤니케이션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전공 주관
-
- 운영 방식
- 협동과정으로 운영
-
- 커리큘럼
-
- 문화콘텐츠학: 120과목 360학점
- 커뮤니케이션학: 120과목 360학점
- 학기별 메뉴제로 운영
교육과정 신설의 취지
문화콘텐츠·커뮤니케이션학은 문과대학 대학원의 학과 간 협동과정으로 운영되며, 세부전공으로 문화콘텐츠학과 커뮤니케이션학의 2개 전공 영역을 두고 있다. 인문-예술, 융합커뮤니케이션-미디어-인지과학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영역인 영상, 게임, 이야기 콘텐츠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등에 대한 기획/개발/분석/평가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특화된 전문인력을 길러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중 커뮤니케이션학이 학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의 대학원 과정에 해당된다.
문화콘텐츠: 인문/문화 연구와 교육의 새로운 키워드
문화의 시대를 맞아 문화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교육은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문화콘텐츠의 체계적 연구를 통해 고급 전문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문화콘텐츠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모색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문화콘텐츠에 대한 학문적 접근의 바탕은 ‘인문학’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최근의 논의 추세다. 인문학적 기반과 문화산업적 감각을 함께 접목함으로써 문화콘텐츠의 학문적 동력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전공은 콘텐츠라는 공동의 관심사를 축으로 하여 인문학 전공간의 벽을 허무는 미래지향적 교육을 추구함으로써 인문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고, 21세기 문화 인프라 구축을 위한 문화연구와 교육의 새 장을 여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문과대학 연구 및 교육 잠재력의 극대화: 협동과정
협동과정은 기존 연구/교육 인력들의 잠재력을 특화된 방향으로 극대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문화콘텐츠와 정보커뮤니케이션 전공은 기존의 학제에서는 일정한 경계선을 두고 있는 문학, 사학, 철학, 언어학, 기호학 전공 인력이 연합하여 운영할 때 비로소 그 정체성이 확보되는 새로운 학제간 연구/교육 분야이다. 콘텐츠와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자체가 이러한 다양한 영역의 접점에서 성립하기 때문이다.
과정별 이수학점
세부전공 | 과정구분 | 이수학점 | 비동일계 하위과정 이수학점 |
---|---|---|---|
문화콘텐츠학 | 석사 | 24 | 12 |
박사 | 36 | 18 |
교과과정 로드맵
- 전공: 문화콘텐츠학
- 졸업요건: 학기등록, 학점취득, 학위논문통과
기초 | 심화 | 특화 |
---|---|---|
인문예술문화(22) | 콘텐츠기초(26) | 문화산업(28) |
고전기초(3) | 콘텐츠입문(7) | 영상콘텐츠(7) |
그리스로마신화연구 | 문화콘텐츠학개론 | 영상문화콘텐츠분석 |
인문콘텐츠연구 | 콘텐츠용어개념연구 | 영상미학콘텐츠론 |
문학작품의 OSMU연구 | 발상의전환 | 드라마영화예술론 |
문화콘텐츠기획실습 | 영화서사연구 | |
문화산업현장탐사 | 영화캐릭터연구 | |
문화콘텐츠분석과기획 | 캐릭터분석 및 개발연구 | |
문화콘텐츠세미나 | 영화역사연구 | |
문화이론(4) | 스토리텔링(5) | 인터랙티브콘텐츠(7) |
문화이론기초및심층연구 | 서사의이해 | 문화테크놀로지연구 |
컬쳐코드연구 | 스토리텔링과시나리오연구 | 커뮤니케이션기술과 문화콘텐츠 |
문화이론특강 | 스토리텔링심화연구 | 컴퓨터게임분석 |
4차산업혁명과 문화학 | 이야기산업과트랜스미디어 | 소셜미디어와초연결사회 |
디지털스토리텔링 | 기능성 콘텐츠의 이해와 활용 | |
인터랙티브콘텐츠기획론 | ||
콘텐츠이용효과와산업·사회적문제 | ||
예술콘텐츠(8) | 문화마케팅(5) | 도시문화콘텐츠(4) |
상징과 이미지 | 문화콘텐츠트렌드연구 | 지역문화콘텐츠연구 |
이미지와 예술 | 콘텐츠윤리와이용자리터러시 | 콘텐츠와 장소만들기 |
예술콘텐츠연구 | 문화콘텐츠마케팅 | 콘텐츠투어리즘 연구 |
사진과이미지연구 | 문화콘텐츠산업경영론 | 지역문화콘텐츠기획론 |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연구 | 명품브랜드연구 | |
시각성과 시각문화 | ||
동아시아 현대미술 연구 | ||
디자인의 문화사 | ||
전통문화콘텐츠(1) | 문화산업정책(5) | 공간콘텐츠(5) |
문화유산콘텐츠기획개발 | 콘텐츠평가와사회문화정책 | 공간스토리텔링연구 |
공공문화정책세미나 | 실감콘텐츠기획개발 | |
글로벌문화산업론 | 테마파크기획론 | |
문화콘텐츠산업경영론 | 스페이스마케팅 | |
중국문화산업의이해 | 공간콘텐츠기획론 | |
글로벌문화콘텐츠(6) | 연구방법과 논문작성(4) | 콘텐츠산업(5) |
유럽문화콘텐츠분석 | 논문작성과지도 | 이벤트기획론 |
중국문화콘텐츠분석 | 문화콘텐츠연구방법론 | 출판콘텐츠분석 |
한류콘텐츠분석 | 석사논문연구법 | 아동문화콘텐츠연구 |
디지털문화유산연구 | 박사논문연구법 | 애니메이션연구 |
비교문화론 | 콘텐츠경험분석 | |
대안사회문화콘텐츠 |